이미지/홍보 사진 자료방

신안 뻘낙지**

천사 섬 2008. 6. 26. 08:37

천사의 섬 신안 뻘낙지에 한잔 으쩌야! 묵고잡다야**

 

 낙지란?

  - 팔이나 다리가 여러 개 달린 바다생물 가운데 우리 국민이 가장 즐겨먹는 것


낙지의 특징

  - 몸은 가늘고 길며,  완(다리)은 몸에 비하여 매우 가늘고 길다

  - 외투장이 외투폭보다 길며 몸통은 난원형, 뒤끝은 약간 뾰쪽하나 끝은 예리하지 않고 둥글다

  - 제1완은 다른 완에 비하여 현저히 길고 굵다

  - 제1완이 특히 길어 전장의 85%를 차지한다.

  - 각팔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으며 1>2>3>4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수컷의 오른쪽 세 번째 다리는 교접완이며, 모양은 끝이 스푼모양이다.

  - 몸 전체는 개체가 사는 특성상 바깥으로 보이지 않는다.

  - 아가미로 물을 빨아들여 숨을 쉬며 누드로 물을 버린다.

 

서식처

 ㅇ연안의 저서성 종으로 조간대에서 150m까지의 뻘에서 서식한다. 주로 바닥에 굴을 만들어 그 속에

   살기 때문에 저질이 뻘질인 천해에 살고 있다.

  - 서식처의 경우는 온도, 염분등의 환경조건이 표층에서 현저하게 변동해도 굴속으로 약간 들어가면

    환경조건이 극심한 변화에 대해 변동폭은 훨씬 작게된다. 그렇기 때문에 저표면의 환경변화에 견딜

    수 있는 생리적 능력을 가지고 나중에 잠입함으로써 열이나 건조에 대한 불리한 점을 해결하고 있

    다. 만조시 간석지가 침수해 있을때는 지표면 가까이에서 활동하고 간조시에는 굴속에 잠입하여 휴

    식하는 일종의 수직이동을 하는 습성을 볼 수 있다.

  - 연안의 이질이 퇴적물에 구멍을 �고 그 속에 숨어서 제1번다리의 끝을 구멍밖으로 내놓고 작은

    동물들을 잡아먹는다.(게,조개,지렁이등등)여름에는 낮은곳에 살다가 온도가 떨어지면 깊은 곳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낙지의종류

  1. 게르마늄이 많이 함유된 순수한 갯뻘에서 서식을 하는 것(흰바탕에 검은색을 약간띰)-신안낙지

  2. 돌, 모래가 섞인 곳에서 서식을 하는 것(흰색조금에 약간 붉음)

  3. 갯뻘이 아닌 물에서, 문어처럼 서식을 하는 것(검 붉음)

※  - 이렇듯 낙지의 색깔을 보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 돌,모래가 섞인곳에서 잡히는 낙지는 질기며, 쓴맛이 납니다.

    - 물에서 잡히는 낙지는 질기며, 문어처럼 큽니다.

 

 즉, 신안 낙지가 유명한 이유는 지역여건상 사람이 갯뻘에 들어가면 무릎까지 빠질정도로 갯뻘이 풍부

 한것입니다. 그래서 연하고 부드럽고 담백한 맛을 내는 것입니다. 또한 신안 낙지는 생명력이 강하여

 포장시 48시간을 살아 움직입니다.

 

'이미지 > 홍보 사진 자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노 화장실  (0) 2008.07.08
하늘에서 내려본 1004의 섬**  (0) 2008.06.27
보물섬에서***  (0) 2008.06.12
제2회 신안병어 축제 참가***  (0) 2008.06.09
압해면 사람들의 한마음 큰잔치  (0) 2008.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