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기후변화에 따른 아열대 조류 검은이마직박구리 자연번식 확인*
|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어미 4·새끼 9마리 관찰> ㅇ 기후변화에 따른 아열대성 조류의 번식지가 북상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시 켜준 사례가 발표돼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ㅇ 지난달 29일 아열대성 조류인 '검은이마직박구리'의 2007년 신안 장도에서의 국내 최초 번식사례에 이어 전남 신안군 가거도에서도 번식을 확인했다고 신안 군 (군수:박우량)과 국립공원 철새연구센터(이하 신안군)는 밝혔다. ㅇ 신안군에 따르면 지난 8월 26일 전남 신안군 가거도에서 어미 두 마리를 발견 했고, 8월 29일 같은 장소에서 어미 4마리와 함께 어린 새 9마리가 관찰되어, 적어도 두 쌍이 번식한 것으로 확인됐다. ㅇ 검은이마직박구리는 지난 2003년 가을 국내에서 처음 서식이 확인된 종이며 2004년 9월 소청도에서 그 해 태어난 어린 새 10개체가 관찰되어, 소청도에서 번식했을 가능성이 처음으로 제기된 바 있으며, 2007년에는 홍도, 순천만 등 여러 곳에서 한 마리씩 발견되기도 하였다. ㅇ 전 세계적으로 검은이마직박구리는 중국 남부, 대만, 베트남 북부지역에만 제한 적으로 분포하는 아열대성 조류로써 국내에서 번식이 확인된 것은 기후변화에 따른 아열대성 조류 중 일부 종들의 번식지역이 북상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 주는 사례로 주목된다. ㅇ 또한 흑산 장도에서 상태도 인근해역을 통과하는 대규모 무리의 지느러미발도요 400여 개체가 멸치 떼를 따라 남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ㅇ 따라서 이곳 해역이 바다새 통과지역의 중요한 길목으로 확인됨에 따라 신안군 과 철새연구센터는 '앞으로 흑산권역의 철새 통과 지역에 대해서 지속적인 조사 를 통해 신안군에 서식하는 조류들의 분포와 서식지 환경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